1. 인문학 지도 디지컬 아카이브 설계 및 구현: 신상민 외 3인
2. 중앙아시아 한민족 공동체 역사의 디지컬 아카이브 필요성 연구: 김상헌·태지호
3. 국립안동대학교 “해외 8개국 소장 20세기 한국학 미구축 자료 수집” 공동연구과제 확보자료의 개요 및 활용 전망: 우동현 외 7인
4. 문학관에서의 환경적 지속 가능성과 그 의미: 최병근 외 3인
5. 도산서원의 보편가치: 전성건
6. ‘탁월한 보편적 가치’와 ‘글로컬’의 초기 기준으로 재조명한 경상도 지역의 세계유산: 조민재
7. 의성 동학농민군 진압자료‒ 「이장회(李章繪) 융희사년기록(隆熙四年記錄)」: 신진희
8. 왕우칭[王禹偁]의 율부(律賦)창작(創作)시론(試論): 김미라
9. 안동의 공연예술콘텐츠에 나타난 지역 이야기의 스토리텔링 전환 양상과 유형: 유영재 외 6인
10. <삼각우총(三角牛塚)> 전설의 변이 양상과 청량사의 정체성: 신호림
11. 한국어의 내핵 관계절에서의 ‘것’의 정체를 찾아서: 박명관
12. 토목 현장 전문용어 분석과 소통의 과제: 권사랑 외 2인
13. 글로벌화 시대의 문화적 저항과 창조적 재구성‒ 졸리비(Jollibee)의 성공 사례를 통해 본
아시아 기업의 정체성 형성: 배문규
14. 브라질 화장품 기업 나투라(NATURA)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: 정갑연